본문 바로가기
일기/일기

하루 공부일기 -2-

by 김우중 2022. 8. 11.
728x90
반응형

내가 공부하려고 산 두 권의 책

1. 김락희의 인체 드로잉

2. 최신기법의 아나토미

이 두권으로 인체의 모든것을 알수는 없지만 일단 시작해본다 인체공부..!!

해서 먼저 공부하려고 펼쳐본 책은 2번책.. 최신 기법의 아나토미 책인데

3D로도 잘 나와있고 사실적인 예시가 많아서 생각보다 이해가 빠르게 될 것 같았지만, 너무 사실적이라 어디서 부터 손대야 할지 모르겠다랄까..

그래서 잠시 2번책은 잠시 덮어두고 1번책을 펼쳤다.

 

맨처음은 인체의 도형화를 어떤식으로 해야하는지 생각보다 자세하지만 쉽게 나와있다.

도형화 시킨 인체를 성별에 따라, 앵글에 따라 비교해 볼 수 있게 예시도 잘 되어있고 어느 부분이 포인트인지 잘 집고 넘어가야하는지 잘 집어준다.

아직 깊이감이나 입체감은 전혀모르겠지만...ㅎㅎ

팔뼈는 사실 두개의 뼈로 손과 이어지지만 보기 편하게 일단은 한개로 그려 설명해져있다.

각각 손의 엄지뼈쪽과 새끼손가락쪽 뼈랑 이어져 있는듯 한데 앞부분에서는 새끼손가락과 이어져있는 척골을 그려 설명해준다.

진짜 보면서 아.. 이런식으로 하면 좀 수월하구나 이런식이면 좀 편하구나 << 같은 포인트들을 잘 설명해준다.

 

골반뼈는 처음 그림에 도형화를 입혀보는 숙제를 하면서부터도 이해가 도무지 안되는 부분중 한곳이다.

입체감있게 그려놔도 다른 각도에서 보면 다른 모양인 듯 보여서 항상 이게 맞나? 싶어 했고,

위치 또한 이부분이 이곳에 있는게 맞나? 좀 더 위인가? 아래인가? 하면서 골반은 항상 애매해 확신이 없었다.

몇번 그려보았지만 그래도 정확히는 잘 모르겠지만 그래도 아 이부분이 강조되고 이런모양이구나 이부분이 튀어나와잇구나 이정도는 알게 된거같다.

골반에서 나와 무릎까지의 구조도 이런식이지 않을까 하면서 그렸는데 이제는 어느정도 잡힌것같다.

여자가 남자에 비해 체지방량이 많다는 것은 익히 들어 알고있었지만, 저렇게까지 차이나는 줄은 몰랐다.

뭔가 구조자체가 다른 느낌..

 

아직 100 쪽도 안봤는데,,,

이거 맞나..?ㅋㅋ

온통 그려볼 것들 천지인데 처음부터 빡빡히 다 그리면 제풀에 지칠거같아서 

일단 첫트니까 슬렁슬렁 읽으면서 오 이거쉽겠다 그려봐야지 하는것들을 위주로 그려보았다리..

아이패드로는 많이 안그려봐서그런지 숙련도이슈로 !! (그렇다고 하자!!)

선이 내맘같지 않달까..ㅎㅎㅎ 

정말 하나하나 내 맘대로 생각하면서 뼈와 근육을 다 이해하고 인지하면서 그리는 날까지 ...!!

좀더 열심히 꾸준히 해봐야겠당...!!

728x90
반응형